200621505018_977.hwp
[ 기자브리핑 참고자료 ]
한국 우주인배출사업 계획
2005. 11.
과 학 기 술 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목 차
Ⅰ. 사업개요 1
Ⅱ. 추진체계 2
Ⅲ. 추진일정 2
Ⅳ. 세부 사업내용 3
Ⅴ. 기대효과 9
[ 참고자료 ]
1. 국제우주정거장(ISS) 개요 10
2. 러시아 소유즈 유인우주선 개요 13
3. 러시아 가가린 우주인훈련센터 개요 16
Ⅰ. 사업개요
○ 사업목표 : 한국 최초 우주인 배출
- 한국 우주인 선발, 훈련, 우주비행과 우주과학임무 수행
- 방송매체를 활용하여 우주에 대한 국민적 이해와 자긍심 제고
○ 사업기간 : 2005년 11월 ~ 2007년 6월
○ 사업주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과학문화재단, 기업 등 참여
○ 총사업비 : 60억원 + α억원
- 60억원 : 정부지원
- α억원 : 러시아와의 협상결과에 따라 결정 예정
※ 러시아와의 협상결과, 참여기업의 재정 분담 등을 고려하여 총사업비 및 항우연 부담 재원 규모 조정 가능
※ 우주인 훈련, 탑승 경비는 러시아 지불금으로 협상에 따라 변동
○ 사업내용
- 전국민을 대상으로 4단계에 걸쳐 2인의 우주인 후보 선발
- 선발된 2인의 우주인 후보에 대한 기초 및 고등훈련
- 우주인 1인이 러시아 소유즈호를 탑승,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우주비행
- ISS 러시아모듈에 7~8일간 체류하며 우주과학실험 수행, 귀환
- 우주과학실험 과제개발 등 임무개발, 우주인 관리
- 확보한 기술․정보․인력 관리, 사업 홍보
Ⅱ. 추진체계
○ 항우연이 주도적으로 대러 협상, 우주인 선발, 홍보 등 추진
- 정부는 행정적 지원
- 과학문화재단, 기업 등 참여
- 러시아는 우주인 선발, 훈련, 탑승, 우주과학실험을 지원 또는 수행
《 추진체계도 》
과학기술부 |
|||||||||
추진위원회 운영 및 사업총괄 지원 |
|||||||||
추진위원회 |
|||||||||
○ 사업 중요 사항 등 |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 전체 사업 주관 ○ 대러 협상주관 및 기술료 지불 ○ 우주인 선발/관리 ○ 우주과학임무 개발 |
|||||||||
선발위원회 |
임무개발위원회 |
||||||||
○ 선발기준심의 ○ 선발 평가방법 심의 |
○ 우주임무 발굴 ○ 우주임무 심의 |
||||||||
방송사/기획사/산업체 |
|||||||||
○ 사업 홍보전략 수립 ○ 우주인배출과 관련한 단계별 홍보 ○ 광고를 통한 사업지원 |
|||||||||
Ⅲ. 추진일정
○ ‘05. 11 추진계획 확정 및 우주인 선발 공고
○ ‘05. 12~’06. 3 4단계를 걸쳐 한국우주인 후보 선발
○ ‘06. 4 ~’07. 3 우주인 후보 훈련(기초 및 고등훈련)
○ ‘07. 4 우주선 탑승, 우주비행/실험, 귀환
○ ‘07. 4 ~’07. 6 사업결과 정리 및 임무결과 분석
Ⅳ. 세부 사업내용
< 사업 단계 총괄 >
우주인 후보자 선발 |
→ |
기초훈련 |
→ |
고등훈련 (활동내용에 따라 변동) |
탑승 ⇒ ‘07.4 |
분석 |
(4개월) ‘05.12~’06.3 |
(6개월) ‘06.4~’06.9 |
(6개월) ‘06.10-’07.3 |
(2개월) ‘07.4~’07.6 |
< 단계별 세부 사업내용 >
1) 한국우주인 선발/관리 |
|
○ 신체․정신․지적으로 적합한 최종후보 2인 선발/관리 ○ 홈페이지구축, 타 과학행사와 연계 등 전 국민 대상 적극 홍보 ○ 홍 보 : TV 방송으로 선발과정 방영 ○ 지 원 : 공군(의료진/시설) |
선발기준 확정 |
○ 기준 : 국내 공군 및 민간 항공조종사 선발기준 벤치마킹, 러시아 소유즈호 탑승기준 등 기준 참고
1차 선발 (‘05.12) |
○ 300명(만19세 이상의 전국민 대상으로 공모)
○ 신체검사 결과, 외국어성적, 이력서 등 서류전형
○ 인터넷, 신문 및 각종 일간지, 과학잡지 등을 이용 공고 및 게시
2차 선발 (‘06.1) |
: 30명 |
○ 필기시험(상식), 신원조회 및 신체․정신․체력검사 (공군 협조)
3차 선발 (‘06.2) |
: 10명 |
○ 정밀 신체․정신검사, 우주적성 검사, 면접 등(공군 협조)
4차 선발 (‘06.3) |
: 5명 ⇒ 2명 |
○ 공군 훈련기 탑승, 고립실 등 심층 검사를 통해 5명 선발
○ 러시아에서 5명을 평가하여 순위를 항우연에 통보
○ 한국에서 최종 2인 선발
2) 우주인 후보 훈련 |
|
○ 후보자 2인 훈련 ○ 기초 및 고등훈련 - 기초훈련: 체력, 강의, 어학, 생존훈련 - 고등훈련: 우주선 시스템, 임무숙달(기기조작, 과학실험 적응) 훈련 |
우주인 훈련 (‘06.4~’07.3) |
○ 일반사항
- 1일 8시간 훈련, 여가시간 자유 (가족생활 가능)
- 훈련 등 활동내용 국내방송 가능 (한국 취재진 체류 가능)
- 훈련시간외 자유복 착용 가능
○ 기초훈련 (약 6개월) : 가가린 우주인 훈련센터 전담
- 러시아어 집중훈련 및 기초 과학기술 수업, 체력훈련 등
○ 고등훈련 (약 6개월) : 가가린우주인 훈련센터 (러시아) 및 항우연 분담 (국내훈련)
- 과학실험 및 우주활동에 따라 훈련내용․기간 변동
- 우주선 시스템 기기조작, 실험 매뉴얼 숙달, 무중력 체험
※ 러시아 측 관련 기관
․ 가가린 우주인훈련센터 : 우주인 훈련
․ 에네르기아社 : 소유즈호 제작 및 우주인 발사
․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 한국우주인 수행 과학실험 협의
3) 우주비행, 우주활동 및 귀환 |
|
○ 체류공간/기간 : ISS 러시아모듈/도킹 후 7~8일 - 우주과학 임무 : 소규모 과학실험 (15Kg) - 지상과의 교신 : VIP․시민들과 직접 통화 등 추진 ○ 귀 환 : 카자흐스탄 바이코눌 기지 부근 |
우주비행 (‘07년 4월) |
○ 발사 : 소유즈호(3인 탑승) 이용 (바이코눌 우주센터)
○ 비행 : 지구궤도 수회 선회 후 ISS에 도킹 (약 2일 소요)
○ 홍보 : 러시아와의 협상결과에 따라 소유즈 발사시 로켓 표면에 태극기 및 산업체 로고 부착 가능
우주활동 |
○ 우주과학 임무 수행
- 국내 연구계/대학과 학생제안 우주과학실험 수행
○ 우주활동의 상업적 활용
※ 러시아와의 협상결과에 따라 활동영역 및 범위 가변적
- 우주활동 중계
․ 1일 2~3회 러시아 MCC(Mission Control Center) 통해 중계
․ ISS내 활동상황은 설치 카메라로 녹화 후 국내방송 가능
- 러시아 MCC를 통해 한국에 전송된 영상 및 녹화영상, 한국 우주인의 직접 촬영분은 우리 정부 소유
- 휴대물품의 적극적 홍보는 불가능하나 사용중 촬영된 영상은 추후 홍보용으로 사용 가능 (ISS내 우주인의 적극적 광고활동은 금지)
귀환 |
○ 카자흐스탄 바이코눌 기지 부근으로 귀환
○ 사후 관리
- 귀환 후 우주인 관리
- 확보한 우주기술 정보의 보존․활용
- 우주과학 실험 및 사업결과 정리 등
4) 우주과학 임무개발 |
|
○ 우주환경(ISS)에서 과학임무 수행을 위한 과제개발 - 국내 연구계, 대학, 산업계와 협의하여 과제 발굴 - 초․중․고 교육/학생제안 우주임무 공모 (‘05.12~’06.3) |
※ 우주과학임무 과제는 국내외 전문가들의 협의, 설문조사, 임무개발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선정
학계/연구계 우주과학임무 개발 |
○ 전문가들과의 협의, 임무개발위원회를 통하여 임무를 선정 후 사업책임자(PI) 결정
초.중.고 학생 우주임무 개발 (‘05.12~’06.3) |
○ 공모, 임무개발위원회를 통하여 우주과학임무 선정
- 예상임무
․ 뉴턴 법칙 시연, 식물씨앗 발아 등
․ 새우알 부화하기, 종이 비행기 날리기, 탁구치기 등
산업체 우주임무 개발 (‘05.12~’07.3) |
○ 산업체의 홍보를 위한 우주 휴대물품을 기업과 협의, 임무개발위원회를 통하여 선정
- 휴대 가능 무게․품목 범위 내에서 선정
․ 예상휴대 품목 : IT제품(디지털카메라, MP3, 시계, 캠코더), 건조식품(인삼) 등
․ 휴대 가능한 품목은 러시아와 협의 후 결정
장비 개발 및 시험 (‘05.12~’07.3) |
○ 국내 개발책임자(PI)를 공모하여 실험장비의 H/W 및 S/W 개발과 시험검증
- 국내 : 장비제작과 시험, 임무(실험) 훈련, 시험결과 분석
- 러시아 : 최종 시험검증
5) 홍보 등 기타사항 |
|
○ 우주인 선발과정을 TV, 인터넷 등 여러 언론 매체를 통해 홍보 - 기획사를 선정하여 홍보전략을 수립하고, 종합적으로 관리/수행하며, 산업체 스폰서를 확보토록 추진 - 각종 전시․체험․교육 등 과학문화 행사와 연계 추진 - 과학문화재단, 기업 참여 |
‘한국우주인 배출사업’ 홍보 (예시) |
○ 전략/이미지 홍보
- 캐리커처, 아이콘, 앰블럼 개발
○ 선발/훈련/탑승/귀환 과정 홍보
- 선발과정 (4개월)을 TV 프로그램화 방영
- 출정식, 1~4차 선발 기념행사, 환송식, 귀환 환영식
- 사업축하 국제 세미나 개최
- 전 과정을 영상기록하고, 다큐멘터리로 제작 방영
○ 홍보용 홈페이지 구축․운영
- 한국 우주인배출사업 소개, 위성․발사체 등 우주과학기술 교육, 국제우주정거장 현황 소개 등
○ 어린이 우주인 선발(‘05.12~’06.3) 및 활용(‘06.4~’07.6)
- 인터넷을 통한 초․중고생 지원자 중 건강지표, 희망, 특기 등을 고려해 어린이 우주인 선발 : 각종 행사 우대 및 경품․자료 제공
○ 학생제안 우주실험 공모과정 홍보(‘05.12~’06.3)
기획사 활용 |
○ 우주홍보계획 수립, 수행, 관리
○ 민간 기업 스폰서 확보 지원
○ 방송사 및 언론매체 활용
○ 각종 우주관련 문화행사와 연계
과학문화재단 등 참여 |
○ 우주관련 드라마, 영화 제작 등
전 국민 참여 |
○ 교육인적자원부 홈페이지 등을 활용하여 유치원, 초․중․고 학생 등에게 홍보
○ 초․중․고 교과과정에 우주관련 내용이 포함되도록 협의․지원
○ 한국우주소년단 및 인터넷 우주홍보대사 등을 최대한 참여토록 유도
○ 많은 아이디어를 수렴할 수 있도록 기획․운영
Ⅴ. 기대효과
○ 과학기술적 효과
- 우주인 배출을 위한 선발․훈련과정, 우주비행, 우주과학실험 등을 통하여 유인 우주기술 확보
- 과학기술계 사기앙양, 청소년 이공계 진출 활성화 계기
○ 경제․산업적 효과
- 지상에서 수행 불가능한 우주 과학실험을 통해 IT, BT 등 첨단 과학기술 능력제고
- 국가의 위상 및 인지도 제고 등을 통해 수출증대 등 직․간접적 파급효과 극대화
○ 국민적 통합 효과
- 한국 최초의 우주인을 배출하여 국민적 자긍심 제고
※ 1961년 이후 세계적으로 베트남, 몽고, 아프가니스탄을 포함 총 34개국 421명 우주인 배출 (‘04.12현재)
※ 중국은 유인우주선 선저우5호('03.10), 6호(‘05.10)발사를 통하여 과학기술 역량 과시, 국가에 대한 자긍심 제고 및 국가신용등급 향상 등 도모
《 참고자료 》
1. 국제우주정거장 (ISS, International Space Station) 개요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 추진개요
○ 임무 : 향후 10년이상 우주공간에서 인간의 우주공간 장기체류 연구, 신물질 연구, 우주과학 및 우주활용 연구
○ 건설기간 : 1998 ~ 2010
○ 소요예산 : 총 350억불(약 40조원) 이상
○ 참여국 : 미국, 러시아, 일본, 캐나다, 유럽연합 11개국(벨기에, 덴마크,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영국), 브라질 등 총 16개국
□ ISS 재원 및 구성
○ 제원
- 크기 : 108m×88m(축구장 크기, 7인 상주가능)
- 무게 : 460톤(완성시)
- 수명 : 최소 10년
- 고도 : 약 354㎞
○ 구성
- 기본 기능모듈
․Zvezda 모듈(러시아) : 자세제어, 전기/통신 등 통제기능 수행
․Zarya(러시아) 및 Unity(미국) 모듈 : 동력제공 및 화물저장
- 실험실 공간 : 총 6개(미국 2, 유럽 1, 일본 1, 러시아 2) 예정
- 외부실험 모듈 : JEM-EF(일본), Columbus-EF(유럽) 등
※ 현재까지 건설된 ISS의 제원(2005년 현재)
- 크기 : 73m×52m (892㎡), 높이 : 27.5m
- 무게 : 186.3톤
□ ISS 구성
※ 현재까지 ISS에 건설된 주요 시설물 현황
ISS의 주요 시설 |
역할 |
건설 시점 |
Zarya(FGB) |
러시아의 ISS 제어 모듈 |
1998. 11. 20 |
Unity |
미국의 작업공간과 생활공간을 연결하는 통로 모듈 |
1998. 12. 08 |
Zvezda |
러시아의 주거공간 제공을 위한 서비스 모듈 |
2000. 07. 25 |
Z1 Truss |
미국에서 P6 Truss 설치를 위한 격자무늬 구조물 |
2000. 10. 14 |
P6 Integrated Truss |
미국에서 설치하는 태양전지판과 배터리 구조물 |
2000. 12. 03 |
Destiny |
미국의 내부 실험실 모듈 |
2001. 02. 10 |
Canadarm2 |
캐나다에서 ISS에 설치한 로봇팔 |
2001. 04. 22 |
Joint Airlock |
미국의 모듈 연결을 위한 연결모듈 |
2001. 07. 15 |
Pirs |
러시아의 우주유영 및 Soyuz 우주선 도킹 포트 |
2001. 09. 16 |
S0 Truss |
미국에서 설치하는 ISS의 중앙부분 뼈대 구조물 |
2002. 04. 11 |
S1 Truss |
미국에서 설치하는 ISS의 뼈대 구조물 |
2002. 10. 10 |
P1 Truss |
미국에서 설치하는 ISS의 뼈대 구조물 |
2002. 11. 26 |
□ ISS의 모습
<진행 방향에서 본 ISS의 현재 모습>
<ISS의 완성 상상도(위에서 본 모습)>
2. 러시아 소유즈(Soyuz) 우주선 개요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 추진개요
○ 러시아(옛 소련)의 소유즈 유인우주선 개발은 1961년부터 시작되어, 1966년 11월 시험발사에 성공하였다. 이후 소유즈호 개발은 소유즈 ferry(‘71~’81년), Transport(T시리즈, ‘79~’86년), Transport/Modification(TM 시리즈, ‘86~’02년), Transport /Modification/Anthropometric(TMA 시리즈, ‘02년~현재)로 계속 변형 발전되고 있음.
○ 현재는 2002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소유즈 TMA 시리즈가 국제우주정거장까지 승무원들을 실어 나르고 있음
□ 구성 및 재원
○ 구성 : 궤도선(orbital module), 귀환선(reentry capsule),
서비스 모듈(service module)
○ 제원
- 발사시 총 무게 : 약 7.1톤
(궤도선 1.3톤, 귀환선 2.9톤, 서비스 모듈 2.6톤, 여유분 0.3톤)
- 전체길이 : 7.2 m
(궤도선 2.6m, 귀환선 2.1m, 서비스 모듈 2.5m)
- 태양전지판 전개시 폭 : 10.6m
- 탑승인원 : 2~3명
○ 발사체 : 소유즈 로켓
○ 발사장소 : 바이코눌 기지(카자흐스탄)
□ 소유즈호 구성도
□ 소유즈호의 국제우주정거장 도킹 장면
□ 소유즈 우주선의 귀환선(승무원이 탑승) 내부 비교
항목 |
소유즈 TM(2002년 이전) |
소유즈 TMA(2002년 이후) |
키(최대) |
182㎝ |
190㎝ |
키(최소) |
164㎝ |
150㎝ |
앉은키(최대) |
94㎝ |
99㎝ |
앉은키(최소) |
80㎝ |
80㎝ |
몸무게(최대) |
85㎏ |
95㎏ |
몸무게(최소) |
56㎏ |
50㎏ |
발 크기(최대) |
- |
29.5㎝ |
※ 탑승하는 우주인의 신체조건 결정사항이 됨
□ 소유즈호 발사체 (소유즈 로켓)
3. 러시아 가가린 우주인훈련센터(GCTC) 개요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 기관개요
○ 기관명 : Gagarin Cosmonaut Training Center(GCTC)
※ Star-City(즈베즈다 가라도크)에 위치함
○ 설 립 : 1960년 설립(1968년 유리가가린 우주비행)
○ 목 적 : 모든 형태 우주비행에 투입되는 우주인 훈련․교육
○ 주요시설 : Mir 실물모형, 우주유영 실습장, 중력실험실 등
□ 주요 수행프로그램 : 우주인 훈련부문 담당
○ 국가 프로그램: Vostok, Voskhod, Soyuz 및 Mir우주정거장
○ 국제 프로그램: Intercomos, Shuttle-Mir, Cassiopeia, EuroMir-97
※ 현재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 파견될 우주인 훈련에 중점
□ 훈련 현황
○ GCTC 배출 우주인(1961년~2002년 12월 현재)
- 27개 국가에서 379명이 훈련에 참여하여 러시아/옛 소련 92명, 미국 72명, EU대표 14명, 기타 17명 등 총 195명의 우주인 배출
- 일반적으로 우주선 주 조종사는 공군 출신 파일럿이 맡음
○ 훈련기간 및 대상자
- 주 조종사가 되기 위한 평균 훈련기간 : 9~12년
- 우주관광객 : 6~12개월
※ 인류 최초의 우주관광객 티토(2001.4; 미국)와 두 번째 셔틀워스(2002.3; 남아공), 세 번째 올센(2005.10; 미국)도 모두 동 센터에서 훈련받았음
□ 훈련 시설
○ 우주인 기초 및 고등훈련과 관련된 모든 시설, 장비
○ 대표적 시설 : 중력테스트 시설, 무중력 훈련 pool 등
□ GCTC 훈련 우주인
○ 1961~2002년까지 GCTC 훈련자 및 배출 우주인
(우주인이 탑승한 우주정거장은 샬루트, 미르, ISS)
국 가 |
훈련 우주인 후보 |
우주비행 경험 우주인 |
오스트리아 |
2 |
1 |
영국 |
2 |
1 |
아프가니스탄 |
2 |
1 |
불가리아 |
3 |
2 |
헝가리 |
2 |
1 |
베트남 |
2 |
1 |
독일 |
7 |
5 |
인도 |
2 |
1 |
스페인 |
1 |
- |
이탈리아 |
1 |
1 |
카자흐스탄 |
1 |
1 |
중국 |
2 |
- |
쿠바 |
2 |
1 |
몽골 |
2 |
1 |
폴란드 |
2 |
1 |
러시아 |
64 |
33 |
루마니아 |
2 |
1 |
시리아 |
2 |
1 |
슬로바키아 |
2 |
1 |
(옛) 소련 |
158 |
59 |
미국 |
103 |
72 |
우크라이나 |
1 |
1 |
프랑스 |
7 |
6 |
체코슬로바키아 |
2 |
1 |
스웨덴 |
1 |
- |
시리아 |
1 |
1 |
일본 |
2 |
1 |
합 계 |
379명 |
195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