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251027(조간) 한국형발사체(누리호) 발사 대비 안전통제 종합훈련 실시.hwp

닫기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5. 10. 26.(일) 12:00

2025. 10. 27.(월) 조간

배포

2025. 10. 24.(금) 16:00

한국형발사체(누리호) 4차 발사 대비

안전통제 종합훈련 실시

- 정부···지자체 등 12개 기관 참여하여 발사안전통제 최종 점검·훈련

우주항공청(청장 윤영빈, 이하 우주청’)은 오는 11월 27일(목)에 예정된 한국형발사체(누리호) 4차 발사에 대비해 10월 27일(월)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정부지자체 등 12개 기관이 참여하는 발사안전통제 최종 점검 종합훈련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발사안전통제 종합훈련은 누리호 발사 시 우주센터 주변 인원 및 차량통제, 발사경로 상의 운행선박항공기 통제 및 주민대피, 테러재난 발생 시 대응 등 발사 과정에서의 안전확보를 통해 성공적인 발사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관련, 우주청은 올해 7월 24일(목)에 정부지자체 등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한국형발사체 발사안전통제협의회를 구성하고, 지난 9월 25일(목)에는 나로우주센터에서 기관별 협력관 및 통제책임자급을 대상으로 도상(圖上)훈련 방식의 지휘조 훈련을 개최하는 등 만반의 준비를 해왔다.

이번에 실시하는 발사안전통제 종합훈련은 지난 지휘조 훈련을 통해 도출된 개선사항을 반영하고, 발사 당일과 동일한 조건으로 육공 전반에 걸친 발사안전통제 상황을 점검훈련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훈련은 발사 당일 비인가 무인기(드론) 출현, 주탑재위성의 연료인 하이드라진 누출, 비정상 발사 상황으로 인한 폭발·화재, 테러발생 등의 상황을 가정하여 유관기관의 상황별 대응능력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누리호 4차 발사는 국내 최초의 심야 우주발사로, 내실 있고 실효성 있는 안전통제 훈련을 통해 발사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비상상황을 철저히 대비하겠으며, 공공안전 확보를 위한 최종 점검을 면밀히 수행하여 누리호의 안전한 발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한국형발사체 4호기 발사안전통제 종합훈련 기본계획 1부. 끝.

담당 부서

우주항공청

우주위험대응과

책임자

과장

최만수 (055-856-4250)

담당자

사무관

김학창 (055-856-4251)

공군중령

정인식 (055-856-4254)

주무관

황영은 (055-856-4257)

붙임

한국형발사체 4호기 발사안전통제 종합훈련 기본계획

목적

발사안전통제 임무 예행연습 및 비상상황 대응훈련을 통하여 한국형발사체 발사안전통제 상황조치 임무조정 및 숙달

훈련 일정

○ (훈련일정) 2025. 10. 27.(월), 16:00 ∼ 19:30

○ (훈련장소) 나로우주센터, 육상·해상·공역 통제구역 일대

훈련 참여

○ (훈련주최) 우주항공청 우주항공정책국(우주위험대응과)

○ (훈련주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나로우주센터

○ (훈련참석) 협력관, 현장책임자, 현장 임무수행자

훈련 범위

구분

훈련 범위

발사

안전

통제

육상

발사대 중심 반경 3 km 이내 인원 및 차량 통제

해상

비행방향 폭 24 km × 길이 78 km 해상 통제

공역

비행방향 폭 44 km × 길이 95 km 공역 통제

비상상황대응

화재, 안전사고 및 대테러 발생 시 긴급구난구조 및 진압하이드라진(독성물질) 누출 상황 부여

훈련 내용

구분

훈련 내용

발사안전통제

임무훈련

발사준비 작업 시간대별 육상, 해상, 공역, 재난관리 준비상황 보고 및 처리 훈련

- 분야별 분임 토의 및 현장 확인

- 발사안전통제 Command List에 따른 상황조치 및 결과 보고 훈련

비상상황 대응훈련

위협상황 부여에 따른 상황조치 대응 훈련

하이드라진(독성물질) 누출 상황 부여

참여대상 규모

구분

참여 대상

인원

- 협력관 (발사안전통제실 배치)

- 현장책임자 (현장 배치)

현장 임무수행자 (현장 배치)

장비

- 발사 당일과 동일

종합훈련 일정(안)

시간

진행 내용

진행

장소

16:00∼16:30

- 종합훈련 진행계획 소개

항우연

발사통제동

(MDC관람실)

16:30∼17:00

- 분야별 종합훈련 계획 설명

육군, 해경, 국토교통부, 소방청 순으로 발표

분야별 주관기관

발사통제동

(MDC관람실)

17:00∼19:00

- 발사안전통제 임무 훈련

- 비상상황 대응훈련

(비상상황 1∼5)

항우연

발사통제동

(발사안전통제실),

육상/해상/공역 통제구역 일대

19:00∼19:10

- 분야별 강평준비

분야별 주관기관

발사통제동

(발사안전통제실)

19:10∼19:30

- 종합강평

항우연

발사통제동

(발사안전통제실)

기관별 훈련임무

기관명

주요임무(안)

비고

우주항공청

발사안전통제훈련 주관

관련기관 협조 및 지원체계 총괄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육상·해상·공역 경계 및 통제

- 발사장 주변 내륙 및 해안 감시

- 통과해역 선박 경계 및 통제

- 통과공역 항공기 경계 및 통제

육상

국토교통부

통과공역 항공기 통제

항공고시보 등 통보

공역

해양수산부

선박(여객, 화물 등)의 안전운항 지도

해양안전종합정보시스템(GICOMS) 등 안내

항행통보 등 통보

어선의 안전조업 지도

전남경찰청

발사장 외곽순찰 및 출입통제

산림청

발사 전후 산불화재 진압

해양경찰청

통과해역 선박 감시·통제

해상교통방송(NAVTEX) 안내

어선의 안전조업 지도

해상

소방청

발사 전후 소방안전대책 및 화재진압 등 긴급구조 대응활동

재난

여수시청

해상통제 구역 내 주민 안전이동

고흥군청

유사 시 지역주민 안전 확보 및 홍보

응급의료 및 산불화재 지원

현장 응급의료소 운영

한국항공우주(연)

발사안전훈련 준비 및 지원

발사안전훈련 결과 개선사항 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