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917+석간+(보도)+국내+소형무인기를+이용한+극지(그린란드)+빙하+융빙현상+관측 (1).hwp
보도일시 |
2021. 9. 17.(금) 석간 (온라인 9. 17 11:00) 부터 보도해주시기 바랍니다. |
|||
배포일시 |
2021. 9. 16.(목) 14:00 |
|||
구주아프리카협력담당관 |
신동협 과장 |
044-202-4350 |
||
김윤종 사무관 |
044-202-4352 |
|||
융합기술과 |
이주원 과장 |
044-202-4570 |
||
이경운 사무관 |
044-202-4576 |
|||
무인이동체사업단 |
강왕구 단장 |
042-860-2328 |
||
국내 소형무인기를 이용하여 극지(그린란드) 빙하가 지구온난화로 인해 녹는 현상 관측 성공 - 한국-덴마크 기술 협력을 통한 소형무인기 빙하 관측 비행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원장 이상률, 이하 항우연) 주관으로 극지(그린란드)에서 빙하 관측을 위한 비행 시험을 수행(’21.9.10~’21.9.14)하였다고 밝혔다.
ㅇ 동 연구는 한국-덴마크 정상회담(’18.10.20) 계기 양국 정상 간 무인이동체를 이용한 극지연구에 협력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후속조치로 추진된 것으로,
- 항우연 주관 하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KOPRI, 소장 강성호)와 덴마크의 우주개발 전문기관인 DTU-space 간 공동연구로 수행되고 있다.
ㅇ 특히, 이번 연구는 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을 주도하는 극지(그린란드)의 빙하가 녹는 현상 관측을 위해, 기존의 위성 및 소형드론 관측 기술의 한계(낮은 해상도, 매우 긴 재방문 주기 등)를 보완하는 준광역 관측 및 데이터 분석 기술 개발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 구체적으로, 기상측정전문 드론을 활용해 빙하 상공의 기상데이터(고도별 온도·습도·풍향·풍속)를 측정하여 위성으로는 관측이 불가능한 빙하 상공의 기상정보의 통합적 분석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항우연∙극지연∙DTU-space와 소형드론 전문기업인 에이엠피(대표 황명수)는 그린란드 Kangerlussuaq 비행장 및 인근 지역에서 국내 개발 소형무인기 3종을 이용해 주변의 러셀빙하(Russel Glacier)*에 대한 관측 비행시험을 수행했다.
* 그린란드의 빙상에서 서쪽 방향으로 흐르고 있는 대륙 빙하로, 온난화에 의해 매년 25m씩 그린란드 내륙지역으로 후퇴
국내 기업명 |
유맥에어 |
에이엠피 |
하이텍 |
기체 특징 |
촬영 및 항법시험용 |
기상관측용 |
맵핑용 |
기체 이륙중량 (kg) |
7.7 |
11 |
1.1 |
임무장비 무게 (kg) |
2 |
1 |
0.25 |
비행시간 (min) |
30 |
30 |
60 |
- 특히 소형무인기 중 2종(유맥에어, 에이앰피)은 과기정통부의 ‘무인이동체 미래선도 핵심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개발한 것이다.
ㅇ 항우연은 이번 비행시험을 통하여 극지환경 무인기 운용 특성 분석, 빙하지형 맵핑 영상 획득, 항법성능시험 등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극한환경*에서의 국내 무인기의 성능을 입증하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 ① 극자기장 불안정, ② GPS신호 미비, ③ 저온/강풍 환경 등
□항우연은 과기정통부의 연구개발 지원사업인 ‘전략형 국제공동연구사업’과 과기정통부가 개발한 무인이동체 및 관련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23년까지 극지(그린란드)의 빙하가 녹는 현상 관측 등의 기후변화 연구를 계속할 것이며, 특히 자체 개발 중인 수소무인기의 성능입증 또한 수행할 예정이다.
ㅇ 극지연구소는 해수면 상승의 주요 원인인 그린란드 빙상의 유실속도가 최근 10년 간 6배 상승한바(UN IPCC 평가보고서), 무인기를 활용한 그린란드 빙상 표면 융빙 관측은 이러한 기후 변화의 검증 및 대처 방안 제시에 사용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ㅇ 나아가, 극지연구소 원격탐사빙권정보센터(센터장 김현철)는 무인기를 활용한 바다얼음(해빙) 표면의 고해상도 표고지도* 최초 제작 등 다양한 극지 빙권 변화 연구를 통해 축적된 분석기술을 활용하여 러셀빙하를 분석할 예정이다.
* 지형의 높이를 수치로 제공하는 지도
□과기정통부 김성규 국제협력관은 “한국-덴마크 간 지속적인 기술협력을 통해 국내무인기의 극지과학탐사 산업분야 진출을 기대한다.”고 밝혔으며,
ㅇ 연구책임자인 항우연 강왕구 단장은 “극지연구소와 국내 드론기업 간 협력을 기반으로 국내 소형무인기의 극지환경의 난조건 비행기술을 확보해 무인기 극한 운용 기술 개발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참고자료> 1. 비행시험 내용 2. 국내기체 소개자료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기술적 사항 등)을 원하시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김윤종 사무관(☎ 044-202-4352) 또는 무인이동체사업단 강왕구 단장(☎ 042-860-2328) 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1. 비행시험 내용 |
1. 2021 하계 드론빙하관측 비행
- 참가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6인), 극지연구소(3인), (주)에이엠피 2인
- 드론비행관측 일시 : 2021.09.10. ~ 2021.09.14.
- 주요 관측 내용 : 러셀 빙하 가시영상
- 사용기체
국내 기업명 |
유맥에어 |
에이엠피 |
하이텍 |
기체 특징 |
촬영 및 항법시험용 |
기상관측용 |
맵핑용 |
기체 이륙중량 (kg) |
7.7 |
11 |
1.1 |
임무장비 무게 (kg) |
2 |
1 |
0.25 |
비행시간 (min) |
30 |
30 |
60 |
2. 그린란드 캥거루스와크(Kangerlussuaq)
- 그린란드 중부에 메인공항(활주로길이 2.8km)이 위치한 상주인구 500여명의소도시며, 덴마크와 그린란드의 주요 도시를 항공편으로 연결
* 그린란드 최대도시는 누크(Nuuk, 인구 19,023명)이나 지형 조건상 800여m의 소형활주로만 보유
- 덴마크 왕국의 그린란드와 페로군도 방위군인 JAC(합동 북극군, Joint Arctic Command)의 공군기지가 위치
- 북극권(Arctic Circle)인 북위 67도 선상에 위치
3. 러셀 빙하(Russel Glacier)
- 그린란드 캉거루스와크에서 동쪽으로 25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그린란드의 빙상에서 서쪽 방향으로 흐르고 있는 빙하
- 온난화에 의해 빙하의 감소가 눈에 뛰게 일어나는 곳으로, 매년 7km의 빙하가 그린란드 내륙지역으로 후퇴가 목격
4. 주요 관측 영상 결과
[그린란드 러셀빙하를 관측하는 ㈜에이엠피(대표 황명수)의 AMP-W-1 드론]
[그린란드 러셀빙하를 관측하는 ㈜유맥에어(대표 최종필)의 UM-4 드론]
[그린란드 러셀빙하 비행관측을 위해 드론의 비행을 준비하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팀]
[그린란드 러셀빙하 관측을 위해 비행관측을 위해 하이텍RCD의 Xeno 드론의 비행을 준비하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팀]
[국내제작 무인기로 획득한 자료를 이용하여 그린란드 러셀빙하를 극지연구소 원격탐사빙권정보센터(센터장 김현철)에서 3차원 입체구조로 재현(빙벽 높이 약 60m), 온나화에 따른 빙하의 소실량을 정밀 정량화하는 연구를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극지연구소가 공동 수행)]
[에이엠피의 기상관측용 드론으로 1.5km 상공에서 촬영한 러셀빙하]
[러셀빙하에서 비행관측 중인 한국연구팀]
2. 국내기체 소개자료 |
1. UM-4 (촬영 및 항법시험용 드론)
제조사 |
유맥에어 |
||
소재지 |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주석로80번길 33 |
대표자 |
최종필 |
연락처 |
031-410-3262 |
홈페이지 |
www.umacair.com |
■ 기체 특징 - 쿼드콥터형 다목적 드론 - EO/IR 카메라, 항법시험장비 탑재 가능 - 접이식 암 적용으로 휴대성 증대 - 사용온도 최고 40℃, 최저 –10℃ - 풍속 10m/s에서 임무 수행 가능 - 통신거리 2km 이상 - 방진·방수 가능한 카본 캐노피 ■ 기체 제원
■ 적용 분야 - 맵핑을 위한 고해상도 영상 촬영 EO/IR 카메라에 의한 감시 정찰 - 항법장비성능시험 |
2. AMP-W-01 (기상관측용 드론)
제조사 |
에이엠피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중앙로97 A동 2405호 |
대표자 |
황명수 |
연락처 |
T.051-715-2022 / F.051-715-2023 |
홈페이지 |
www.ampkorea.kr |
■ 기체 특징 - 멀티콥터 형태의 수직 이착륙 소형무인기 기상관측용 임무장치 탑재 및 최적화 형상 최대고도 8,000ft 관측비행수행 악기상운영을 위해 방수/방진 설계 풍속 및 기온 습도 측정을 위한 내환경성 보유 이동 운반에 적합한 분리/조립형 프레임 측정 데이터 실시간 모니터링 ■ 기체 제원
■ 적용 분야 - 기상정보 관측 및 수직 프로파일링 임무장치으로 미세입자 측정 분야 활용 미세먼지관측 활용 고고도 정밀 영상 촬영 공군비행단 활주로 기상관측 전력화 완료 |
3. XENO FX (맵핑용 드론)
제조사 |
하이텍알씨디코리아 |
||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양청3길 43 |
대표자 |
정길수 |
연락처 |
043-717-2007 |
홈페이지 |
www.hitecrcd.co.kr |
■ 기체 특징 - 핸드론치형으로 이착륙을 위한 활주로 불필요 경량 동체 및 전동형 기체로 60분 이상 비행 가능 모듈형 전용 광학 카메라, 스펙트럴 카메라 장착 가능 스마트 배터리 적용 자동경로비행 및 수동 조종 가능 광범위 맵핑 영상 촬영에 적합한 전용 GCS - 수직꼬리날개 분리와 접이식 동체로 보관 및 이동 용이 ■ 기체 제원
■ 적용 분야 - 광범위 영역 다목적 맵핑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