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250925(조간) 달 궤도선 다누리, 성과 극대화를 위한 궤도 변경 수행.hwp

닫기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5. 9. 24.(수) 12:00

(2025. 9. 25.(목) 조간)

배포

2025. 9. 24.(수) 09:00

달 궤도선 다누리, 성과 극대화를 위한 궤도 변경 수행

- 별도의 궤도 조정 없이 장기 운영이 가능한 달 동결궤도 투입

우주항공청(청장 윤영빈)은 9월 24일(수), 연장 임무*를 수행 중인 달 궤도선 다누리가 저궤도 임무를 마치고, 별도의 연료 소모 없이 궤도를 유지할 수 있는 동결궤도에 진입해 추가 임무를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 다누리 잔여 연료량, 배터리 및 부품 상태 종합 검토 후, 2차례 임무 기간 연장

- 1차 연장: ‘23.12월 종료 예정이던 임무를 ’25.12월까지로 연장

- 2차 연장: 운영 고도 100km에서 60km로 궤도 전환 운영(7개월) 후, 동결궤도로 환하여 ‘27.12까지 운영 후 임무 종료

2022년 8월 5일 발사된 다누리는 지난 2월 19일, 임무 운영 고도인 100km에서 60km로 낮추어 약 7개월간 저궤도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9월 24일에 동결궤도로 전환하여 임무를 계속한다. 동결궤도는 달의 중력 분포 특성상 별도의 궤도 조정을 위한 연료 소비 없이 자연적으로 유지되는 타원형 궤도로, 다누리의 경우 낮은 고도 60km, 높은 고도 200km의 동결궤도 투입할 계획이다.

동결궤도 조건의 임무운영 기간에는 타원 궤도 특성을 활용하여, 달 표면 영상의 해상도와 선명도 향상, 달 남·북극 영구음영지역에 대한 음영 조건 변화 관측, 그리고 다양한 고도에서의 자기장 관측 등 추가 과학 관측을 수행할 예정이다

다누리는 설계 수명을 초과하여 운영 중인 탓에 배터리 및 태양전지의 성능이 떨어져 있어 임무운영에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지난 3월 14일과 9월 7일 두 차례 개기월식 기간 중 전력부족에 대비하여 다누리는 사전에 배터리 충전을 최대로하고 전력 소비량을 최소화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정상 운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동결궤도 임무가 끝나는 2027년 이후에는 폐기 기동을 통해 착륙선 임무에 필요한 착륙 데이터를 확보한 후, 달 표면에 충돌하여 임무를 최종 종료할 계획이다.

강경인 우주항공청 우주과학탐사부문장다누리는 저궤도 연장 임무를 통해 고해상도 영상 획득 등 추가 과학적 성과를 얻었으며, 향후 타원인 동결궤도에서의 장기간 관측을 통해 다양한 달 궤도에서의 관측 데이터 획득달 과학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붙임. <참고 1> 달 탐사 1단계(다누리) 사업 개요 1부.

<참고 2> 다누리 궤도 변경 경과 1부.

<참고 3> 다누리 탑재체 개요 및 주요 결과 1부. 끝.

담당 부서

우주과학탐사부문

책임자

프로그램장

류동영

(055-856-5350)

달착륙선프로그램

담당자

사무관

김선훈

(055-856-5352)

주무관

김이정

(055-856-5355)

참고1

달 궤도선(다누리) 사업 개요

사업 개요

(목표) 약 680kg급의 달 궤도선을 개발하여 우주 탐사 기반 기술을 확보하고, 달 궤도상(달 상공 100±30km)에서 달 착륙지 후보 탐색, 달 과학연구, 우주인터넷기술 검증 등 과학기술 임무를 수행

(사업기간 / 예산) 16.1월~23.3월 / 총 2,367억원

(사업추진체계) 주관부처과기정통부 / 관리한국연구재단 / 수행항우연

사업 주요 내용

(달 궤도선 개발) 달 궤도선(본체 및 탑재체)NASA와의 국제협력* 기반으로 개발하고, 국내 심우주지상국을 구축하며, 달 탐사 2단계 선행연구 수행

* 우리 궤도선에 NASA 탑재체(ShadowCam)를 탑재하고, NASA는 심우주항행기술 및 심우주네트워크 무상사용 등을 지원

< 달 궤도선 다누리의 주요 제원 >

형상

주요 제원

총중량

678kg

크기

발사형상: 2.14× 1.82× 2.29(m)

궤도형상: 3.18× 6.3× 2.67(m)

임무기간

1년*(‘23.1∼‘23.12월)

운용궤도

원형궤도**(100km × 100km)

전이궤도

탄도형 달 전이 방식***

탑재체

6종(국내개발 5종, NASA 1종)

* 1차 연장(~’25.12월), 2차 연장(~’27.12월) 및 종료(~’28.3월) 예정

** (’25.2월) 60km×60km 원형궤도 (’25.9월) 60km×200km 타원형 동결궤도

*** BLT(Balistic Lunar Transfer), 다른 궤적에 비해 이동 거리가 길지만, 연료를 상당량 절감 가능

(임무운영) 달 궤도선의 발사, 지구-달 전이, 달 임무궤도 안착, 달 궤도상 임무수행 전 과정에서 다누리와 통신하며 운영하는 업무 수행

달 궤도선 임무운영은 항우연 기본 사업을 통해 예산을 확보하여 진행(‘22∼‘23년/42.77억원)

(탑재체 성과활용) 다누리 탐사자료를 기반으로 달 표면 광물원소 지도 등 과학기술 연구 성과물을 도출하고, 달화성소행성 탐사 등 미래 우주탐사 자료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플랫폼 개발

탑재체 성과활용은 천문연, 지자연, 항우연 기본 사업을 통해 예산을 확보하여 추진 중(‘23∼‘26년/96억원)

참고2

다누리 궤도 변경 경과

궤도 변경 임무 운영

25.2월 고도 60km 저궤도 진입하여 정밀 관측을 수행하고, 25.9월 달 동결궤도(60kmx200km)에 진입하여 관측 기간을 극대화하여 임무 수행

< 다누리 궤도 변경 임무 >

궤도 종류

원궤도(설계궤도)

원궤도(저궤도)

타원궤도(동결궤도)

형상

고도

100±30km

60 ±30km

60x200km

궤도 경사각

90도

90도

90도

임무기간

22.12.27.~25.02.19.

25.02.19.~25.09.24.

25.09.24.~28.01.12.(예정)

< 다누리 임무운영 추가 연장 주요 일정 >

구분

1차 임무연장 기간의 임무운영

2차 임무연장 기간의 임무운영

연도

2025

2026

2027, 2028

주요 일정

연장임무궤도 진입(2.19)

개기월식 운영(3.14)

개기월식 운영(9.7)

동결궤도 진입(9.24)

개기월식 운영(3.3)

개기월식 운영(8.28)

폐기 기동(28.1월)

표면 충돌 임무 종료(28.3월)

참고3

다누리 탑재체 개요 및 주요 결과

고해상도카메라(LUTI)

(개요) 달 궤도선 고해상도카메라는 ˊ32년 달 착륙선의 착륙지 후보에 대해, 3차원 지형달 중위도* 지역 영상 획득 등 달 표면정밀 지형 관측 수행

* 달 위도 +60° ~ -60°

고해상도카메라 관측 결과

자기이상지역 라이너감마 (Reiner Gamma) 촬영(2023년 관측) 영상

(촬영 영역 크기: 65x90km)

달 표면 특이 지형 (Ina) 촬영 영상.

(上) 고도 100km (해상도 2.2m/px)

(下) 고도 60km (해상도 1.7m/px)

(촬영 영역 크기: 4.0x3.1km)

광시야편광카메라(PolCam)

(개요) 달 궤도선 광시야 편광카메라의 파장별* 관측영상으로 40미터급 표면 전면 및 편광 지도티타늄 분포지도, 토양의 입자크기 지도를 작성

* 320nm, 430nm, 750nm

광시야편광카메라(PolCam) 관측 결과

자기이상지역인 라이나 감마 스월*(Reiner Gamma Swirl)의 (좌) 측광 (우) 편광 관측 이미지. 측광/편광 특성이 다름이 확인되며, 이는 해당 지역의 자기장 특성으로 인해 토양의 밀도가 주변에 비해 높고, 토양의 미세구조가 다를 수 있음을 의미.

* 달 표면의 강한 자기장으로 인해 나선형 패턴을 보이는 특이 지역

광시야 편광 카메라(PolCam) 관측 영상(2023-2024년 관측)으로 작성한 달 전면지도. 가시광에서의 달 전면지도 작성은 미국, 일본, 중국에 이어 세계 4번째 완성 지도.

자기장측정기(KMAG)

(개요) 달 궤도선 자기장측정기를 통한 달 표면 자기장을 측정하여, 표면 자기장 지도달 내부구조·형상 연구결과 도출

자기장측정기(KMAG) 관측 결과

달 고도 60km 운영에서 관측한 라이너감마(Reiner Gamma) 지역의 자기장 세기 분포 그림. 라이너감마 지역에서 자기장 세기가 주변보다 강한 약 8 nT 정도의 자기장이 관측됨. 아래 사진은 다누리 편광 카메라(PolCam) 이미지이며, 자기장 세기에 따라 우주풍화의 영향을 다르게 받는 표면 특성을 보여준다.

감마선분광기(KGRS)

(개요) 달 궤도선 감마선분광기의 감마선 분광 관측을 통해 달 방사선 환경지도달 표면 원소·자원 지도 작성

감마선분광기(KGRS) 관측 결과

KGRS 자료(2023년 관측)를 수집해 얻은 달 표면의 토륨(Th) 원소 분포 지도.

토륨 함량은 폭풍 KREEP* 지형(Procellarum KREEP Terrane)과 남극 에이트켄분지(South Pole-Aitken Basin)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양상을 보인다.

* KREEP : K(칼륨), REE(희토류원소), P(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