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여러 개의 압력홀을 이용한 유속 측정 프로브.pdf

닫기

background image

수요처 및 권리현황

적용처

출원(등록)번호

비고

1394670

한국

기술 수요

발명의 명칭

· 터보기계(압축기, 터빈,
  펌프, 팬) 제조 社
· 항공, 조선, 자동차
  제조 社

· 터보기계 (압축기, 터빈, 펌프, 팬)
  유동 및 성능측정 분야
· 항공, 조선, 자동차 등 유체의
  속도 측정 분야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기술수준

■ 기술개념확립
□ 연구실환경검증
□ 시제품제작
□ 실제환경검증
□ 신뢰성평가
□ 상용품 제작
□ 사업화

시장전망

* 2013년 국내 기계산업 생산액은
  110조 원으로 전망
* 2014년 기계산업 생산과 수출은
  117조 원, 510억 달러 예상

기술문의

주 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성과확산실
조문희 선임, 김일태 선임
042-860-2272, 042-870-3673
moonyxp@kari.re.kr
magickit@kari.re.kr

강정식 박사

개발현황

기술내용

수요처

추가기술정보

권리현황

2014.05.02 국내 특허등록 완료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의 구성

•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바디
  →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복수의 홀에 각각
      연결되는 튜브를 포함

• 바디는 제1볼록부와, 제1 볼록부에 연결된 천이부와,
  천이부에 연결된 제2 볼록부를 구비하여, 복수의 홀
  중 일부가 상기 천이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

• 복수의 홀 중 나머지가 천이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둥근 형상의 헤드부

• 헤드부를 지지하는 스템부

• 헤드부의 제2볼록부와 스템부 사이에 구비되며
  헤드부와 스템부보다 가는 경부를 포함하는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100 : 바디                     101, 201 : 복수의 홀
101a, 201a : 제 1 홀        101b,201b : 제 2 홀
101c, 201c : 제 3 홀        101d, 201d : 제 4 홀
101e, 201e : 제 5 홀        101f, 201f : 제 6 홀
101g, 201g : 제 7 홀        101h, 201h : 제 8 홀
201i : 제 9 홀   201j : 제 10 홀   201k : 제 11홀
110 : 헤드부   111 : 제1볼록부   112 : 제2볼록부
113 : 천이부   120 : 스템부        130 : 경부

<부호설명>

여러 개의 압력홀을 이용한 유속 측정 프로브

기/술/개/요

상하 및 좌우 방향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 가능한 유동각의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는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기술

기존 기술의 문제점

차별성 및 효과

차별성

기술적 효과

경제적 효과

상하 및 좌우 방향의 유체 속도 측정 및 측정 가능한 유동각의 범위 최대화 가능

상하 및 좌우 방향 속도 측정 및

유동각의 범위 최대화

터보기계, 항공, 조선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

•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는 터보기계
  (압축기, 터빈, 펌프, 팬 등)의 유동 및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됨

• 또한 항공, 조선, 자동차 등 유체의 속도 측정이
  필요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여 활용 가능함

• 둥근 형상의 헤드부가 경부에 의해 스템부로부터
  이격된 형상을 갖는 바디를 포함

• 헤드부에 복수의 홀이 형성되되 복수의 홀 중
  일부가 헤드부의 최외각 둘레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나머지가 최외각 둘레면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됨
  → 상하 및 좌우 방향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 가능한 유동각의 범위를 최대화 가능

측정 가능한 유동 및 유동각이 제한적임
  - 종래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는 홀(hole)의 개수에 따라 2공 프로브, 3공 프로브 및 5공, 7공,
    12공, 16공 프로브로 구분됨
    → 2공 프로브 : 0도의 유동각을 갖는 직선 유동에 대해서만 측정이 가능한 문제가 있음
    → 3공 프로브 : ±45도 내지 ±50도의 유동각을 갖는 좌우 유동에 대해서만 측정 가능함
    → 5공 프로브 : 좌우 및 상하 유동에 대해 측정이 가능하지만 유동각이 제한적임
                        (±45도 내지 ±50도)
    → 7공 프로브 : 측정 가능한 유동각의 범위가 넓긴 하지만 여전히 유동각이 ±70도로 제한적임

- 1 -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