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40. 항공_장병희_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pdf

닫기

background image

• 풍속계를 활용하여 지상 주행체의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임

기술개요

KARI Sales Material Kit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술소개자료

기술분류 : 항공 분야

거래유형 : 추후 협의 기술 가격 : 별도 협의

연구자 정보 : 장병희 책임 / 항공기술연구부

기술활용분야

• 자율주행차, 무인기, 무인 농기계 분야, 무인 수중이동체 및 무인선 분야에 활용 가능

TRL6

기술완성도

※ TRL 5 : 시제품 제작 및 성능평가 완료

TRL1

TRL2

TRL3

TRL4

TRL5

TRL7

TRL8

TRL9

기초이론/

실험

실용목적

아이디어/

특허 등

개념 정립

연구실

규모의

성능 검증

연구실

규모의

부품/시스템

성능평가

시제품 제작

/성능평가

Pilot 단계

시작품

성능평가

Pilot 단계

시작품

신뢰성 평가

시작품 인증

/표준화

사업화

시장동향

• 세계 자율자동차 시장은 2017년 121만대를 기록하였으며, 2022년까지 689만 단

위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됨 (연평균 41.61% 성장)

• HIS 등 시장조사기관의 예측에 따르면, 자율주행자동차는 관련 규제가 적은 북미와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초기 시장을 형성한 뒤 2025년 ~ 2035년에 급속도로 성장
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자율주행차 시장규모 및 전망]

(출처: Technavio, Global Autonomous vehicles market 2019-2023)

(단위: 백만 유닛)

기술이전 상담 및 문의 : 기술사업화실 | 원유선 선임 | 042-870-3639  | yswon@kari.re.kr


background image

기술구현

No.

특허명

특허(등록)번호

1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10-1886001

KARI Sales Material Kit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술소개자료

차량용 주행 보조장치 및 방법

지식재산권 현황

개발기술 특성

기존기술 한계

• 항공기에 작용하는 공기력은 항공기의 절대속도가 아닌 바람과의 상대속도에 의해 결정

- 항공기의 상대속도가 높으면 구조적으로 위험, 상대속도가 낮으면 양력을 잃어 추락 위험

지상 주행체의 경우 바퀴의 회전수를 이용한 절대속도만을 측정

반면 상대속도는 운전자가 강풍을 느끼면 감속하는 방식으로 상대속도의 영향을 운전에
반영
하는 방식

→ 최근 자율주행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탑승자가 없거나 있어도 직접

운전하지 않을 경우, 바람의 영향을 운전에 반영하여 주행안정성을 확보할 장치가 필요

개발기술 특성

• 차량용 주행 보조장치는 바람센서, 프로세서, 제어부, 디스플레이부 및 알림부 등으로

구성
- 바람센서 : 2차원 풍향 및 풍속 측정
- 프로세서 : 차량의 주행속도 및 바람센서로부터 측정되는 풍향 및 풍속 정보 이용하여

차량의 바람에 대한 상대속도를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과 비교하여 주행 안전성
판단

- 제어부 : 주행안정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차량을 감속하도록 제어
- 디스플레이부 및 알림부 : 주행안정영역 및 주행 안정성 표시 및 지정된 영역 벗어나는

경우 경고 메시지 알림

[압력식 바람센서 및 초음파 바람센서]

[바람센서 장착된 차량의 모습]

[주행 안전성 판단 흐름도 ]

[본 기술에 따른 주행안정영역 도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