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중력 환경에서의 관성력과 표준 질량을 이용한 질량측정 시스템 및 방법
■ 보유기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주요 발명자
백홍열 외 4명
■ 권리사항
‧ 출원번호
10-2004-0055190
‧ 출원일
2004년07월15일
‧ 현재상태
■ 등록 □ 공개(심사중) □ 미공개
■ 기술완성도
□ 기초연구단계 □ 실험단계 ■ 시작품단계 □ 제품화단계
■ 적용가능분야 및 목표시장
신약, 각종 신소재 개발, 식품안전, 방사능테스트, 법의학, 연료분석
등 산업 전반에 응용가능, 전통산업, 연구현장, 안전계측 분야, 첨단
산업까지 활용가능 함
■ 기술 개요
시료와 기지 질량의 표준 시료에 대하여 동일한 선형 가속도를 작용하고, 이것에 의한 시료와 표준 시료의
관성력과 표준 시료의 질량만을 이용하여 시료의 질량을 측정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무중력 환경에서의 관성
력과 표준 질량을 이용한 질량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임
■ 기술 개념도
[그림] 개념도
■ 기술 내용 및 동향
[상세 기술 내용]
◾ 종래의 기술들은 작은 질량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데는 부적합하며 문제점과 제약성으로 인하여 우주 실
험 시료에 대한 실험 전후의 정밀 측정은 주로 지상에서 수행되어 큰 불편이 있었고, 이로 인해 우주
실험의 정확성과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음
◾ 시스템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소형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측정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개발비가 낮아지는
효과를 가지며, 우주선 내에서 현장 측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우주 실험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증대
시키는 효과가 있음
[기술의 특장점]
◾ 가속도를 측정하지 않고도 시료의 질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질량 측정의 정확성이 높아지며, 시
료의 질량 측정에의 실시간 측정, 신속성, 질량의 정확성 및 정밀성 향상이 이루어 짐
[국내외 기술현황]
◾ 빠르고 정확하면서도 신뢰성 있는 시험 결과에 대한 압박이 커지면서 분석 작업의 흐름은 장비의 디자
인, 소프트웨어, 소모품, 시약 및 인력요인까지 단편적이 아닌 총체적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음
■ 시장 동향
[시장 정의 및 시장규모]
◾ 국내 측정 계측기 시장 규모는 약 6조원으로 세계 5위 규모이며 기타 유관산업까지 포함하면 50조원
이 넘을 것으로 전망됨
◾ 박스형 계측기 시장이 최근 PXI로 넘어가고 있으며, 2017년까지 약 10억 달러, 매년 6년간 연평균 1
2.2%의 고성장이 예측 됨. 또한 측정 계측기는 자동차, 중공업, 조선, 식품 등의 산업에서 꾸준히 수요
가 이어지고 있으며, 항공 우주, 반도체 장비 등 고부가가치 첨단 계측기도 10% 이상 고속 성장을 하
고 있으며, 대체 에너지 분야인 풍력, 태양광발전, 연료전지를 비롯해 통신, 환경 및 삶의 질적 향상과
관련된 계측기 시장도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됨
[시장경쟁상황]
◾ 해외 전체 시장에서 애질런트는 2011년 66억 달러의 매출액을 달성했으며 대부분의 제품이 40%이상
의 시장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는 등 계측기 업계에서 독보적인 존재임
◾ 과거 국내시장의 계측장비 생산업체 수는 약 300여개로 그중 90%이상이 중소기업이며, 연매출액 30억
이하가 전체 업체의 40%를 차지하고 있음
[시장진입가능성]
◾ 계측기기 시장은 경쟁시장이며 부품시장의 경우 타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성장 가능성이 크므로 중소기
업의 시장진입 가능성이 비교적 높음. 반면 완제품은 시험, 성능 테스트 등에 사용하므로 첨단 정밀 계
측 기술력, 안정적인 생산기반이 수반될 경우 시장 진입 후 안착 가능성이 높음
■ 문의처
‧ 소속
성과확산실
‧ 담당자
조문희
‧ 연락처
042-870-3673, moonyxp@kar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