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무인 항공기의 랜딩 보조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pdf

닫기

background image

수요처 및 권리현황

적용처

출원(등록)번호

비고

1388082

한국

기술 수요

발명의 명칭

· 유/무인기 개발/제조 社

· 무인항공기 분야

 

무인 항공기의 랜딩 보조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기술수준

■ 기술개념확립
□ 연구실환경검증
□ 시제품제작
□ 실제환경검증
□ 신뢰성평가
□ 상용품 제작
□ 사업화

시장전망

* 시계 무인 비행기 시장은 2020년
  까지 연평균 8%이상 성장하여
  114 억 달러 규모로 성장 할
  것으로 전망 

기술문의

주 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성과확산실
조문희 선임, 김일태 선임
042-860-2272, 042-870-3673
moonyxp@kari.re.kr
magickit@kari.re.kr

이장호 선임연구원

개발현황

기술내용

수요처

추가기술정보

권리현황

2014.04.16 국내 특허등록 완료

무인 항공기 랜딩 보조 장치의 구성

• 무인 항공기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선형 모터가
  설치되는 케이스

•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어 선형 모터의 작동에
  의해 케이스의 외부로 전개되는 제1, 2랜딩 플레이트
  로 구성된 랜딩 유닛

• 무인 항공기의 랜딩 휠에 설치되어 랜딩 휠과 지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선형 모터를 작동시키
  는 제어부

제1 랜딩 플레이트

제2 랜딩 플레이트

랜딩 휠

케이스

랜딩 유닛

제어부

감지 센서

<랜딩 보조 장치 >

<랜딩 보조 장치가 설치된 무인 항공기>

<패널 제조장치의 구성>

무인 항공기의 랜딩 보조 장치

기/술/개/요

무인 항공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선형 모터에 의해 랜딩 유닛을 무인 항공기의 양측으로
전개함으로써, 무인 항공기 착륙 시 항공기 동체가 뒤집어 지는 것을 방지하여 무인
항공기의 파손을 방지하는 무인 항공기 랜딩 보조 장치 기술

기존 기술의 문제점

차별성 및 효과

차별성

기술적 효과

경제적 효과

무인 항공기 착륙 시 랜딩 유닛을 양측으로 전개하여 항공기 동체가 뒤집어 지는 것을 방지

무인 항공기 파손 방지

항공기 파손 방지를 통한

유지보수 비용 절감

• 무인 항공기는 산업용, 군사용, 레져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며, 이에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 및 가격대의 항공기가 출시되고 있음
  → 무인 항공기의 가격은 30만원 수준부터 수억 원
      대로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

• 군용무인기 글로벌호크의 대당 가격
  약 230억원(NASA)
  → 고가의 무인 항공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지보수 비용 절감이 가능함

• 무인 항공기 착륙 시 랜딩 휠에 설치된 감지 센서를
  통해 랜딩 휠과 지연의 접촉여부를 판단함

• 랜딩 휠이 지면과 접촉될 경우(착륙) 랜딩 유닛이
  무인 항공기의 양측으로 전개됨
  → 바람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무인 항공기가
      기울어지더라도 항공기 양측으로 전개된 랜딩
      유닛이 동체를 지지하여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

무인 항공기 착륙 시 항공기 동체가 뒤집어 지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
  - 종래 무인 항공기 착륙 장치는  항공기 하부에 랜딩 휠이
    구비되어 있으며, 랜딩 휠이 지면과 접촉됨에 의해 무인
    항공기가 착륙하게 됨

    → 그러나 무인 항공기는 일반 항공기에 비해 경량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착륙 시 바람 또는 공기의 저항 등에
        의해 항공기 동체가 뒤집어져 무인 항공기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함

랜딩 휠

- 47 -

- 48 -